본문 바로가기

기본카테고리

7월 13일 스펄전 아침묵상 “하나님이 요나에게 이르시되 네가……성냄이 어찌 합당하냐”[요나 4장 9절]

반응형
July 13

"God said to Jonah, Doest thou well to be angry" (Jonah 4: 9).

Anger is not always sinful, but it has a tendency to run wild.  Whenever it displays itself, we should be quick to question its character with this inquiry, "Doest thou well to be angry?"  It may be that we can answer, "Yes."  Very frequently anger is the madman's firebrand, but sometimes it is Elijah's fire from heaven.  We do well when we are angry with sin because of the wrong which it commits against our good and gracious God.  We are rightfully angry with ourselves if we remain so foolish after so much divine instruction.  He who is not angry at transgression becomes a partaker in it.  Sin is a loathsome and hateful thing, and no renewed heart can patiently endure it.  God Himself is angry with the wicked every day.  It is written in His Word, "Ye that love the Lord, hate evil" (Psalm 97: 10).  Far more frequently it is to be feared that our anger is not commendable or even justifiable.  Then we must answer, "No."  Why should we be fretful with children, irritable with workers, or irate with friends?  Is such anger honorable to our Christian profession or glorifying to God?  It is the old evil heart seeking to gain dominion.  We should resist it with all the might of our new-born nature.  Many believers give way to temper as though it were useless to attempt resistance.  But let the believer remember that he must be a conqueror in every point, or else he cannot be crowned.  If we cannot control our tempers, what has grace done for us?  We must not make natural infirmity an excuse for sin.  We must ask the Lord to crucify our tempers and renew us in gentleness and meekness after His own image.   

7월 13일

제목 : 성냄이 합당하냐

요절 : "하나님이 요나에게 이르시되 네가 이 박 넝쿨로 인하여 성냄이 어찌 합당하냐 그가 대답하되 내가 성내어 죽기까지 할지라도 합당하니이다"욘4:9)

성내는 것(노하는 것)은 반드시(항상) 죄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사나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화(성)를 낼 때에는 언제나, "네가 성내는 것이 마땅한가?"라는, 이 질문으로 그 성격을 빨리 탐구해야 합니다. 아마 '합당하다'고 대답할 수 있는 것도 있을 것입니다. 분노는 미치광이의 횃불일 때도 많지만, 때로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엘리야의 불일 때도 있습니다.(역자주1)

만일 우리의 선과 자비로우신 하나님을 대적하여 범하는 악(惡) 때문에 죄에 대하여 우리가 성을 내게 될 때는 마땅한 일입니다. 우리가 그처럼 많은 하나님의 교훈을 받은 후에도 여전히 어리석다면 우리는 당연히 우리들 자신에 대하여 화를 내야합니다. 범죄에 대하여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은 그 범죄에 공범자(관계자)가 되는 것입니다. 죄는 혐오스럽고 증오스러운 것입니다.

그러나 거듭난(새로 난)심령은 누구든지 그것을 참고 견딜 수 없습니다. 하나님 자신도 악한 자에 대하여 매일 분노하십니다.(역자주2)  하나님의 말씀 속에도, "여호와를 사랑하는 너희여 악을 미워하라"(시97:10)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분노가 칭찬할 만한 것이 못되고, 더욱이 정당하지 못한 때가 훨씬 많다(자주 있다)는 사실이 두려운 것입니다. 그런 때 우리는 터져 나오는 자신의 분노에 대하여 "안돼요"라고 말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왜 자녀들에게 화를 잘 내며, 직원들에게 성질을 부리고, 동료들에게도 잘 노해야 합니까? 그런 분노가 우리 그리스도인의 신앙고백에 명예가 되거나 혹은 하나님께 영광이 될 수 있겠습니까?

그것은 우리 마음을 다시 지배하려는 옛날의 악한 마음(즉 중생하기 전의 마음)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거듭난 본성의 모든 능력을 갖고 그것에 저항해야 합니다. 많은 신자들이 마치 저항을 시도하는 것이 소용없다는 듯이 분노를 터뜨리고 맙니다. 그러나 믿는 자는 모든 점에서 정복자가 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는 면류관을 쓸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우리가 우리의 화를 다스리지(억제하지)못하다면,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를 위하여 무엇을 한 것이 되겠습니까?(즉 하나님의 은혜의 사역이 헛된 것이 됩니다.)(역자주3)  우리는 자신의 자연적 결점을 죄를 짓는 핑계(구실)로 삼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주님께 우리의(성내는 )기질을 십자가에 못박고(역자주4) 우리를 주님의 형상을 닮은 친절하고 유순한 모습으로 새롭게 만들어 주시기를 기도해야 합니다.

주1 왕상18:20-40

주2 시7:11

주3 약1:20

주4 갈6:14 

[파일: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