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책은, 요한복음의 유대주의적, 그리스-로마적 배경을 심도 있게 탐구한 탁월한 주석서로, 저자인 크레이그 S. 키너 박사는 요한복음과 관련된 학자들의 모든 제안을 총망라하는 동시에 그것의 장/단점을 잘 제시하고 있다. 방대한 참고자료와 다양한 접근을 소개하는 이 책을 요한복음/요한신학 연구의 ‘끝판왕’이라 감히 말씀드리고 싶다.
1. 키너 박사는 내러티브적 접근 방식에 자신의 특유한 사회-역사, 사회-문화적 해석을 도입하여 요한복음을 해석해 나간다. 구약성경을 해석할 때, 고대 근동의 문화와 환경이 전제되는 것처럼. 신약의 해석에도 그 당시 문화와 환경을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음서 저자들이 그 당시 헬라문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전기와 역사 편찬 모두에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저자들이 참고한 전기나 역사 편찬이라는 그 당시 장르들은 교훈 전달과 함께 역사적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복음서 저자들이 단순한 상상이 아닌 역사적인 사건들을 기록했으며, 그 가운데서 내러티브의 방식을 통해 자신들의 메시지를 제시했다고 논증한다. 또한 키너는 그 당시 문학적 장르를 가지고 복음서의 역사성, 즉 공관복음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요한복음과 공관복음은 일치하며, 다만 요한복음이 공관복음의 내용을 단지 그 당시 전기나 역사 편찬 또는 다른 저술들의 방식으로 재진술(recounted)하고 있다고 논증한다.
2. 키너 박사는 후대의 랍비 전승들(탄나임, 아모라임 등)도 활용하는데, 연대기적인 것이 반드시 진리일 수 없고 후대의 정황이 이전의 정황을 반영할 수도 있다는 전제를 가져온다. 또한 성경 영감을 주장하며 역사비평의 방법론 자체를 의심한다. 그는 그것으로 진위를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역사비평은 그것을 사용하는 학자들의 의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학자들의 전제가 다 다르므로, 요한복음을 파악하는 데 통일성이 없으며, 서로 다른 접근으로 결론 내어 결국, 요한복음의 실제적인 의도를 알 수 없기에 역사비평은 헛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3. 키너 박사는 요한복음의 전개방식이 “아이러니(예를 들어, 마땅히 예수님을 받아들여야 하는 유대인들은 배척하고 비유대인인 사마리아인들은 받아들인다. 이때 진정한 유대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와 “모호함”의 수사적 효과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런 수사법을 분석하면서, 요한복음의 신학적 메시지가 풍자적인 부분이 있음을 논증한다. 키너는 이 부분을 강조하면서 이중적 의미가 가지는 수사학적인 모호함 때문에 독자들이 수동적으로 본문을 읽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요한의 내러티브에 참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1. 키너 박사는 내러티브적 접근 방식에 자신의 특유한 사회-역사, 사회-문화적 해석을 도입하여 요한복음을 해석해 나간다. 구약성경을 해석할 때, 고대 근동의 문화와 환경이 전제되는 것처럼. 신약의 해석에도 그 당시 문화와 환경을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음서 저자들이 그 당시 헬라문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전기와 역사 편찬 모두에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저자들이 참고한 전기나 역사 편찬이라는 그 당시 장르들은 교훈 전달과 함께 역사적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복음서 저자들이 단순한 상상이 아닌 역사적인 사건들을 기록했으며, 그 가운데서 내러티브의 방식을 통해 자신들의 메시지를 제시했다고 논증한다. 또한 키너는 그 당시 문학적 장르를 가지고 복음서의 역사성, 즉 공관복음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요한복음과 공관복음은 일치하며, 다만 요한복음이 공관복음의 내용을 단지 그 당시 전기나 역사 편찬 또는 다른 저술들의 방식으로 재진술(recounted)하고 있다고 논증한다.
2. 키너 박사는 후대의 랍비 전승들(탄나임, 아모라임 등)도 활용하는데, 연대기적인 것이 반드시 진리일 수 없고 후대의 정황이 이전의 정황을 반영할 수도 있다는 전제를 가져온다. 또한 성경 영감을 주장하며 역사비평의 방법론 자체를 의심한다. 그는 그것으로 진위를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역사비평은 그것을 사용하는 학자들의 의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학자들의 전제가 다 다르므로, 요한복음을 파악하는 데 통일성이 없으며, 서로 다른 접근으로 결론 내어 결국, 요한복음의 실제적인 의도를 알 수 없기에 역사비평은 헛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3. 키너 박사는 요한복음의 전개방식이 “아이러니(예를 들어, 마땅히 예수님을 받아들여야 하는 유대인들은 배척하고 비유대인인 사마리아인들은 받아들인다. 이때 진정한 유대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와 “모호함”의 수사적 효과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런 수사법을 분석하면서, 요한복음의 신학적 메시지가 풍자적인 부분이 있음을 논증한다. 키너는 이 부분을 강조하면서 이중적 의미가 가지는 수사학적인 모호함 때문에 독자들이 수동적으로 본문을 읽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요한의 내러티브에 참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저자가 자기 저서를 고칠 수 있었던 것은 확실하지만, 저서들의 다양한 판본이라는 이미지는 14세기 이전에 인쇄기가 나오기 이전에는 사람을 “다소 호도할 수” 있었다. 필자의 견해로는, 만약 요한복음이 아마도 회람되지 않았던 초기의 초고 단계를 제외하고, 더 이전의 형태를 갖고 있었다면, 그것은 아마도 사랑하는 제자 혹은/그리고 제4복음서 저자가 설교했던 구전의 형태(oral form)였을 것이다.
- p. 173
이 모든 것을 고려해 볼 때, 장로 요한은 다름 아닌 사도 요한이었을 가능성이 훨씬 더 크다. 또한 앞서 필자는 “사랑하는 제자”는 열두 제자 중 한 명이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다른” 요한이 있을 가능성은 없을 것 같다고 주장했다.
- p. 305
복음서의 영감의 개념은 초기 기독교가 나중에 정경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결과는 아니다. 제4복음서의 저자와 첫 번째 독자들(first readers)은 틀림없이 영감을 가정했다. 그리고 그들은 예수님이 그 문서의 기초이며 문서 안에서 말한다고 확신했기 때문에 그 문서의 권위를 인정했다.
- p. 362
예수님은 분명히 자신의 사명, 즉 고난과 승귀 둘 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다니엘서 7장의 인자와 관련해서 정의했다.
- p. 780
- p. 173
이 모든 것을 고려해 볼 때, 장로 요한은 다름 아닌 사도 요한이었을 가능성이 훨씬 더 크다. 또한 앞서 필자는 “사랑하는 제자”는 열두 제자 중 한 명이었을 것이며, 그로 인해 “다른” 요한이 있을 가능성은 없을 것 같다고 주장했다.
- p. 305
복음서의 영감의 개념은 초기 기독교가 나중에 정경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결과는 아니다. 제4복음서의 저자와 첫 번째 독자들(first readers)은 틀림없이 영감을 가정했다. 그리고 그들은 예수님이 그 문서의 기초이며 문서 안에서 말한다고 확신했기 때문에 그 문서의 권위를 인정했다.
- p. 362
예수님은 분명히 자신의 사명, 즉 고난과 승귀 둘 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다니엘서 7장의 인자와 관련해서 정의했다.
- p. 780
한국어판 서문 4
추천사 1 (송태근 박사: 삼일교회 담임목사) 7
추천사 2 (김병모 박사: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9
추천사 3 (조석민 박사: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11
추천사 4 13
저자 서문 16
역자 서문 32
약어표 34
서론
제1장 장르와 역사적인 문제들 93
1. 복음서 장르와 관련된 제안들 95
1) 민속 문학 혹은 회고록? 97
2) 소설과 드라마 104
2. 전기 111
1) 그리스-로마의 전기와 역사 113
2) 역사는 어떻게 기록되었는가? 126
3) 특정한 저서의 정확성 평가 139
4) 유대의 전기 저술 관습 143
3. 역사적 전기로서의 복음서들 152
4. 비정경의 복음서 전승들 164
5. 제4복음서의 자료비평 170
6. 요한복음, 역사적 전승, 그리고 공관복음 176
7. 요한과 역사적 전승 183
8. 요한의 독특한 문체와 복음서 양식의 각색 193
9. 결론 203
제2장 제4복음서의 강화 206
1. 구전 전승, 필기, 기억 209
1) 구전 문화 209
2) 필기 212
3) 제자들, 배움, 암기 215
4) 연설의 암기 223
5) 담화 전승 226
2. 논쟁 양식 233
3. 요한의 강화와 고대의 연설 저술 239
1) 해석적인 사건으로서의 연설 240
2) 어떤 유대 역사가의 연설들 245
3) 더 정확한 연설들 248
4) 문체의 자유 252
4. 요한복음 강화의 특별한 요소들 256
5. 결론 264
제3장 저자권 266
1. 누가 제4복음서를 썼는가? 269
2. 사도 요한 271
1) 내적인 증거 273
(1) 사랑하는 제자의 정체
(2) 웨스트코트의 제거의 과정
2) 교회 전통 289
(1) 영지주의와 정통 교회의 견해 일치
(2) 2세기 정통 교회와 제4복음서
(3) 파피아스와 장로 요한
3) 다른 외적인 증거 305
4) 기타 반론들 310
3. 편집의 차원? 321
1) 레이몬드 브라운의 공동체 발전 이론 323
2) 초기 기독교의 요한 진영 330
3) 요한학파 332
4) 사랑하는 제자와 저자의 구분 336
5) 제4복음서는 대대적으로 편집되었는가? 339
4. 저자권에 관한 결론 344
5. 보혜사와 영감에 관한 내적인 주장들 346
1) 보혜사와 요한복음의 구성 350
2) 강화의 선지자적 구성? 352
3) 영감의 성질 358
4) 영감에 관한 결론 362
6. 저자와 다른 요한 문헌 363
1) 요한복음 vs. 요한서신 364
2) 요한복음 vs. 요한계시록 371
(1) 어휘의 차이?
① 두 책의 공통적인 언어
② 상황이나 장르에 기인한 차이점들
③ 어휘를 근거로 한 주장들
(2) 신학적인 차이?
① 신학적인 유사성
② 묵시적 세계관의 유사성
(3)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에 관한 결론
제4장 사회적인 상황 403
1. 연대 404
2. 기원과 청중의 소재지 410
3. 요한 공동체는 종파주의자들이었는가? 425
4. 일반적인 동지중해 배경 431
5. 일반적인 이방인 배경 438
1) 일반적인 헬라 배경 439
2) 요한 공동체의 이방인 구성원 445
3) 인도의 불교? 448
4) 신비주의적 배경? 451
6. 영지주의와 제4복음서 452
1) 요한복음 안에 영지주의의 특성이 있는가? 454
2) 나그함마디 문서, 헤르메스주의 문헌, 만다야교 458
3) 유대교 영지주의? 464
4) 기독교 이전의 영지주의 468
7. 복음서의 사마리아 배경 471
제5장 유대교의 환경 473
1. 요한복음의 유대성 476
2. 디아스포라 유대교의 배경 482
1) 어떤 종류의 디아스포라 유대교인가? 483
2) 로마 속주 행정부와의 관계 485
3.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환경? 493
1) 방법론 493
2) 초기 유대교의 다양성 496
3) 부기: 요한 문헌 연구에서 랍비 문헌의 가치 505
(1) 신약 학계와 랍비 문헌
(2) 누스너의 미니멀리즘
(3) 일부 전승에 관한 외적인 증거
(4) 전승비평에서의 난제들
(5) 결론
4. 회당과의 갈등 530
1) 갈등에 관한 학계의 논의 531
2) 신학적인 문제 539
(1) 교회론
(2) 성경론
(3) 기독론
(4) 성령론
3) 회당에서 환영받지 못함 558
4) 이러한 배경에서 요한복음의 목적 573
5. “유대인들”과 요한의 아이러니 575
1) “유대인”의 부정적인 사용 579
2) 요한복음의 “유대인”에 관한 이전의 논의들 586
3) 제4복음서의 아이러니의 사용 595
4) 제자들의 유대성 602
5) “유대인”과 요한의 삶의 정황: 바리새파의 권력 604
6) 결론 606
6. 갈릴리 vs. 유대 607
1) 갈릴리 사람들은 얼마나 “정통”이었는가? 608
2) 갈릴리인들은 폭도들이었는가? 612
3) 도시화로 인한 사회 경제적 차이 613
4) 엘리트의 소재지 614
5) 신학적인 동기 615
7. 결론 617
제6장 계시의 모티프: 지식, 봄, 표적 618
1. 하나님을 아는 지식 620
1) 헬레니즘의 지식의 특별한 개념 622
(1) 헬레니즘의 지식
(2) 헬레니즘과 자기를 아는 지식
(3) 헬레니즘의 신을 아는 지식
(4) 요한과 영지주의의 지식
2) 여러 유대교 자료의 지식 634
(1) 필로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
(2)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지식
① 쿰란 문서의 지식
② 하나님을 아는 것에 관한 다른 유대교의 개념들
③ 구약의 기초
3) 요한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 642
(1) 용어의 분포
(2) 요한복음의 지식에 대한 강조
2. 계시적인 봄 650
1) 헬레니즘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0
2) 더 헬라화된 유대교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3
3) 덜 헬라화된 유대교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6
4) 제4복음서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8
3. 고대 시대, 예수 전승, 제4복음서의 표적 660
1) 요한의 표적 자료 661
2) 고대의 기적들과 기적 기사들 663
(1) 기적 기사들에 관한 이교의 평행들
(2) 이교 전승에서 기적을 행하는 자들
(3) 복음서 기적에 관한 유대교의 평행들
3) 예수 전승 기적들의 역사적인 평가 672
(1) 초기 기독교와 고대의 다른 기적 이야기들 사이의 차이점
① 초기 기독교와 이교의 기적 이야기들의 차이점
② 예수님의 기적들과 유대 전승의 기적들의 비교
③ 예수님의 기적의 평행과 진위
(2) 기사들의 역사적 진정성
① 고대 기사들의 회의적인 해석
② 자연 기적들
③ 기적에 관한 현대의 회의주의
4) 기적과 예수님의 정체 698
(1) 신적인 사람에 관한 가설
(2) 카리스마적인 이적을 행하는 자
5) 표적의 기능 708
(1) 증명으로서의 표적
(2) 제4복음서에서 표적의 목적
(3) 표적-믿음
(4) 성경적 암시로서의 표적-믿음
4. 결론 724
제7장 기독론과 기타 신학 725
1. 요한의 기독론의 요점 727
2. 요한의 기독론의 독특성 732
3. 그리스도 734
1) 유대교의 메시아 대망 735
2) 메시아 대망 안의 다양성 740
3) 예수님과 메시아 746
4. 하나님의 아들 751
1) 그리스-로마의 하나님의 아들들 751
2) “하나님의 아들”의 유대교 용례 757
3) 초기 기독교와 요한복음의 아들 됨 762
5. 주님 765
6. 초기 기독교 전승에서 예수님의 신성 767
1) 헬라의 신격화 혹은 유대교의 유일신 사상? 768
2) 지혜 기독론 772
3) 요한의 기독론과 기독교 전승 775
(1) 공관복음 전승에서 하나님이신 예수님?
(2) 다양한 그러나 상호 보충적인 기독론들
7. 대리인 모티프 793
1) 고대 사회에서 대리인 793
2) 신약 배경으로서 유대의 대리인? 796
3) 대리와 사도직의 의미 800
4) 대리에 관한 요한의 용례 806
8. 비전통적인 기독론적 이미지 811
9. 기독론에 관한 결론 816
10. 요한의 다른 주제들 817
1) 실현된 종말론 817
2) 사랑 824
3) 믿음 828
4) 생명 833
5) 세상 837
11. 결론 839
참고문헌 840
추천사 1 (송태근 박사: 삼일교회 담임목사) 7
추천사 2 (김병모 박사: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9
추천사 3 (조석민 박사: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11
추천사 4 13
저자 서문 16
역자 서문 32
약어표 34
서론
제1장 장르와 역사적인 문제들 93
1. 복음서 장르와 관련된 제안들 95
1) 민속 문학 혹은 회고록? 97
2) 소설과 드라마 104
2. 전기 111
1) 그리스-로마의 전기와 역사 113
2) 역사는 어떻게 기록되었는가? 126
3) 특정한 저서의 정확성 평가 139
4) 유대의 전기 저술 관습 143
3. 역사적 전기로서의 복음서들 152
4. 비정경의 복음서 전승들 164
5. 제4복음서의 자료비평 170
6. 요한복음, 역사적 전승, 그리고 공관복음 176
7. 요한과 역사적 전승 183
8. 요한의 독특한 문체와 복음서 양식의 각색 193
9. 결론 203
제2장 제4복음서의 강화 206
1. 구전 전승, 필기, 기억 209
1) 구전 문화 209
2) 필기 212
3) 제자들, 배움, 암기 215
4) 연설의 암기 223
5) 담화 전승 226
2. 논쟁 양식 233
3. 요한의 강화와 고대의 연설 저술 239
1) 해석적인 사건으로서의 연설 240
2) 어떤 유대 역사가의 연설들 245
3) 더 정확한 연설들 248
4) 문체의 자유 252
4. 요한복음 강화의 특별한 요소들 256
5. 결론 264
제3장 저자권 266
1. 누가 제4복음서를 썼는가? 269
2. 사도 요한 271
1) 내적인 증거 273
(1) 사랑하는 제자의 정체
(2) 웨스트코트의 제거의 과정
2) 교회 전통 289
(1) 영지주의와 정통 교회의 견해 일치
(2) 2세기 정통 교회와 제4복음서
(3) 파피아스와 장로 요한
3) 다른 외적인 증거 305
4) 기타 반론들 310
3. 편집의 차원? 321
1) 레이몬드 브라운의 공동체 발전 이론 323
2) 초기 기독교의 요한 진영 330
3) 요한학파 332
4) 사랑하는 제자와 저자의 구분 336
5) 제4복음서는 대대적으로 편집되었는가? 339
4. 저자권에 관한 결론 344
5. 보혜사와 영감에 관한 내적인 주장들 346
1) 보혜사와 요한복음의 구성 350
2) 강화의 선지자적 구성? 352
3) 영감의 성질 358
4) 영감에 관한 결론 362
6. 저자와 다른 요한 문헌 363
1) 요한복음 vs. 요한서신 364
2) 요한복음 vs. 요한계시록 371
(1) 어휘의 차이?
① 두 책의 공통적인 언어
② 상황이나 장르에 기인한 차이점들
③ 어휘를 근거로 한 주장들
(2) 신학적인 차이?
① 신학적인 유사성
② 묵시적 세계관의 유사성
(3)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에 관한 결론
제4장 사회적인 상황 403
1. 연대 404
2. 기원과 청중의 소재지 410
3. 요한 공동체는 종파주의자들이었는가? 425
4. 일반적인 동지중해 배경 431
5. 일반적인 이방인 배경 438
1) 일반적인 헬라 배경 439
2) 요한 공동체의 이방인 구성원 445
3) 인도의 불교? 448
4) 신비주의적 배경? 451
6. 영지주의와 제4복음서 452
1) 요한복음 안에 영지주의의 특성이 있는가? 454
2) 나그함마디 문서, 헤르메스주의 문헌, 만다야교 458
3) 유대교 영지주의? 464
4) 기독교 이전의 영지주의 468
7. 복음서의 사마리아 배경 471
제5장 유대교의 환경 473
1. 요한복음의 유대성 476
2. 디아스포라 유대교의 배경 482
1) 어떤 종류의 디아스포라 유대교인가? 483
2) 로마 속주 행정부와의 관계 485
3.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환경? 493
1) 방법론 493
2) 초기 유대교의 다양성 496
3) 부기: 요한 문헌 연구에서 랍비 문헌의 가치 505
(1) 신약 학계와 랍비 문헌
(2) 누스너의 미니멀리즘
(3) 일부 전승에 관한 외적인 증거
(4) 전승비평에서의 난제들
(5) 결론
4. 회당과의 갈등 530
1) 갈등에 관한 학계의 논의 531
2) 신학적인 문제 539
(1) 교회론
(2) 성경론
(3) 기독론
(4) 성령론
3) 회당에서 환영받지 못함 558
4) 이러한 배경에서 요한복음의 목적 573
5. “유대인들”과 요한의 아이러니 575
1) “유대인”의 부정적인 사용 579
2) 요한복음의 “유대인”에 관한 이전의 논의들 586
3) 제4복음서의 아이러니의 사용 595
4) 제자들의 유대성 602
5) “유대인”과 요한의 삶의 정황: 바리새파의 권력 604
6) 결론 606
6. 갈릴리 vs. 유대 607
1) 갈릴리 사람들은 얼마나 “정통”이었는가? 608
2) 갈릴리인들은 폭도들이었는가? 612
3) 도시화로 인한 사회 경제적 차이 613
4) 엘리트의 소재지 614
5) 신학적인 동기 615
7. 결론 617
제6장 계시의 모티프: 지식, 봄, 표적 618
1. 하나님을 아는 지식 620
1) 헬레니즘의 지식의 특별한 개념 622
(1) 헬레니즘의 지식
(2) 헬레니즘과 자기를 아는 지식
(3) 헬레니즘의 신을 아는 지식
(4) 요한과 영지주의의 지식
2) 여러 유대교 자료의 지식 634
(1) 필로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
(2)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지식
① 쿰란 문서의 지식
② 하나님을 아는 것에 관한 다른 유대교의 개념들
③ 구약의 기초
3) 요한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 642
(1) 용어의 분포
(2) 요한복음의 지식에 대한 강조
2. 계시적인 봄 650
1) 헬레니즘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0
2) 더 헬라화된 유대교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3
3) 덜 헬라화된 유대교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6
4) 제4복음서에서 하나님을 보는 것 658
3. 고대 시대, 예수 전승, 제4복음서의 표적 660
1) 요한의 표적 자료 661
2) 고대의 기적들과 기적 기사들 663
(1) 기적 기사들에 관한 이교의 평행들
(2) 이교 전승에서 기적을 행하는 자들
(3) 복음서 기적에 관한 유대교의 평행들
3) 예수 전승 기적들의 역사적인 평가 672
(1) 초기 기독교와 고대의 다른 기적 이야기들 사이의 차이점
① 초기 기독교와 이교의 기적 이야기들의 차이점
② 예수님의 기적들과 유대 전승의 기적들의 비교
③ 예수님의 기적의 평행과 진위
(2) 기사들의 역사적 진정성
① 고대 기사들의 회의적인 해석
② 자연 기적들
③ 기적에 관한 현대의 회의주의
4) 기적과 예수님의 정체 698
(1) 신적인 사람에 관한 가설
(2) 카리스마적인 이적을 행하는 자
5) 표적의 기능 708
(1) 증명으로서의 표적
(2) 제4복음서에서 표적의 목적
(3) 표적-믿음
(4) 성경적 암시로서의 표적-믿음
4. 결론 724
제7장 기독론과 기타 신학 725
1. 요한의 기독론의 요점 727
2. 요한의 기독론의 독특성 732
3. 그리스도 734
1) 유대교의 메시아 대망 735
2) 메시아 대망 안의 다양성 740
3) 예수님과 메시아 746
4. 하나님의 아들 751
1) 그리스-로마의 하나님의 아들들 751
2) “하나님의 아들”의 유대교 용례 757
3) 초기 기독교와 요한복음의 아들 됨 762
5. 주님 765
6. 초기 기독교 전승에서 예수님의 신성 767
1) 헬라의 신격화 혹은 유대교의 유일신 사상? 768
2) 지혜 기독론 772
3) 요한의 기독론과 기독교 전승 775
(1) 공관복음 전승에서 하나님이신 예수님?
(2) 다양한 그러나 상호 보충적인 기독론들
7. 대리인 모티프 793
1) 고대 사회에서 대리인 793
2) 신약 배경으로서 유대의 대리인? 796
3) 대리와 사도직의 의미 800
4) 대리에 관한 요한의 용례 806
8. 비전통적인 기독론적 이미지 811
9. 기독론에 관한 결론 816
10. 요한의 다른 주제들 817
1) 실현된 종말론 817
2) 사랑 824
3) 믿음 828
4) 생명 833
5) 세상 837
11. 결론 839
참고문헌 840
본서를 통해 저자는 설교자로 하여금 요한복음의 세계 속으로 깊이 빠져들게 한다. 요한복음이 기록된 당시의 정황들, 요한복음을 연구하는 다양한 해석자들의 견해는 텍스트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진의를 파악하게 하는 데 훌륭한 안내자가 된다. 본서를 통해 한국 교회의 강단이 한층 더 단단히 서기를 소원하며 본서를 적극 추천한다.
- 송태근 박사 l 삼일교회 담임목사
본서는 요한복음을 제대로 연구하려는 사람들이라면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아니 간과해서는 안 되는 무게 있는 주석서이다. 이 땅의 많은 목회자들, 신학생들, 그리고 성도들이 본서를 통하여 깊은 울림이 담겨 있는 요한복음의 메시지에 한층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을 기대하면서, 본서를 기꺼이 추천한다.
- 김병모 박사 l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요한복음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가르치는 한 사람으로서, 이 복음서를 사랑하며, 그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적용하려는 모든 독자들과 이 복음서를 연구하며 설교하려는 신학생들 및 목회자들에
게 본서를 적극 추천한다.
- 조석민 박사 l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 송태근 박사 l 삼일교회 담임목사
본서는 요한복음을 제대로 연구하려는 사람들이라면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아니 간과해서는 안 되는 무게 있는 주석서이다. 이 땅의 많은 목회자들, 신학생들, 그리고 성도들이 본서를 통하여 깊은 울림이 담겨 있는 요한복음의 메시지에 한층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을 기대하면서, 본서를 기꺼이 추천한다.
- 김병모 박사 l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요한복음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가르치는 한 사람으로서, 이 복음서를 사랑하며, 그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적용하려는 모든 독자들과 이 복음서를 연구하며 설교하려는 신학생들 및 목회자들에
게 본서를 적극 추천한다.
- 조석민 박사 l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크레이그 S. 키너
센트럴바이블컬리지(Central Bible College, B.A., 1982), 하나님의성회신학교(Assemblies of God Theological Seminary, M.A., 1985; M.Div., 1987), 듀크대학교(Duke University, Ph.D. in New Testament Studies and Christian Origins, 1991)를 졸업하고, 후드신학교(Hood Theological Seminary) 교수를 거쳐, 이스턴대학교 팔머신학교(Palmer Theological Seminary of Eastern University)에서 15년간 신약학 교수로 봉직하였다. 현재 미국 애즈베리신학교(Asbury Theological Seminary)의 성경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다양한 신학 분야의 저명한 저자이자 인기 있는 강사이다. 키너는 지금까지 신약 배경사와 성경 주석, 역사적 예수, 기적, 가정, 인종화해 등의 주제로 20여 권의 책을 저술하였고, 또한 70여 편의 학술논문과 170여 편의 대중적인 소논문을 썼다.
키너는 콩고공화국 난민 출신 메딘 무숭가(Medine Moussounga)와 결혼하여, 아내와 함께 미국과 아프리카 등지에서 인종화해사역을 하고 있다. 그는 1991년 아프리카계 미국 교단에서 안수를 받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 교회에서 협동목사로 사역하다가 애즈베리로 옮겼다. 최근에 다양한 교단들과 연결되어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키너는 콩고공화국 난민 출신 메딘 무숭가(Medine Moussounga)와 결혼하여, 아내와 함께 미국과 아프리카 등지에서 인종화해사역을 하고 있다. 그는 1991년 아프리카계 미국 교단에서 안수를 받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 교회에서 협동목사로 사역하다가 애즈베리로 옮겼다. 최근에 다양한 교단들과 연결되어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