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카테고리

1897년 12월 15일, 도널드 맥가브란(Donald Anderson McGavran) 출생, "교회성장의 핵심은 전도와 양육을 감당할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는 데 있다."

반응형

12월 15일 “도널드 맥가브란, 교회 성장 운동의 아버지”

오늘은 도널드 맥가브란(Donald Anderson McGavran, 1897–1990)이 태어난 날입니다. 1897년 12월 15일, 맥가브란은 인도 다모(Damoh)에서 출생했습니다. 버틀러 대학, 예일대 신학대학원, 인디애나폴리스 선교대학교, 컬럼비아 대학에서 수학한 그는 그리스도의 교회 연합선교회 소속 선교사로 인도에서 사역했습니다(1923-1954). 맥가브란은 감리교 선교사 피켓을 통해 얻은 ‘대중 운동’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켰고, 미국으로 돌아와 교회성장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65년에 풀러신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습니다. 그는 ‘동질집단 원리’를 강조했는데, 이는 동질집단의 사람들이 기존 집단과 관계를 끊지 않고 예수께 오는 방법이 모색될 때 선교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이론입니다. 맥가브란은 동질집단 회심운동 자체는 명목상의 그리스도인을 만들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다리』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파키스탄 북쪽에는 추라스(Churas)라고 불리는……이들은 불가촉천민으로, 파키스탄 전체 인구의 약 7%를 차지하고 있다……존경받는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있던 선교사들은 대개 이들을 무시해 왔다……그때 추라스 종족 중에 디트(Ditt)라는 남자가 그리스도께 돌아왔다. 그리고 그는 자신을 쫓아내려 했음에도, 자신의 친척들을 차츰 기독교 신앙으로 인도하기 시작했다……그리스도인이 된 사람들은 영적 돌봄과 교육을 받았으며 또 교회로 조직되었다. 기존 사회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개종자들이 집단적으로 생겨났기 때문에 목회자와 선교사들의 선교적 노력은 주로 교육과 선교에 집중될 수 있었다……하나님께 집단동질 회심운동을 위탁받은 선교회는 헌신된 남녀 교인들로 이루어졌으며……80여 년의 사역 후에 이 지역에서 더는 추라스족 사람이 없다는 성과를 얻었다. 이들 모두 그리스도인이 된 것이다.[Ralph D. Winter·Steven C. Hawthorne·한철호 ed., Perspectives on the World Christian Movement, 정옥배·변창욱·김동화·이현모 역, 『퍼스펙티브스 1』 (서울: 예수전도단, 2010), 607-608.]

인종 및 계급 차별로 이어질 가능성, 성공 가능 지역에 대한 노력 집중으로 인한 소수 종족 대상 사역과의 갈등, 성공과 숫자에 대한 지나친 강조 등은 맥가브란의 교회 성장 원리에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됩니다. 교회 성장을 앞세우다 바른 교회론이 희생되지 않기를 원합니다.

맥가브란은 미국 교회성장학회에서 한 연설을 통해……전도라는 표현을 대신할 말을 찾는 중이었다고 회고했다. 일반적으로 전도를 교리문답반, 세례, 교인 등록과 쉽게 혼돈했기 때문이었다. 맥가브란은 교회성장이란 표현을 쓰기 시작했다. 맥가브란은 새로운 표현이 전도와 지상명령의 실천 결과를 더 잘 설명한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이 전도를 통해 그리스도를 받아들이고 세례를 받고 하나님 말씀을 배우면 교회는 자란다. 전도란 표현이 잃어버린 영혼에게 전달되는 내용을 강조한다면, 교회성장이란 표현은 그 결과를 강조한다고 맥가브란은 주장했다. 잃어버린 영혼들을 상대로 제대로 전도하면 교회는 성장하게 되어 있다……맥가브란은 선교 지상명령을 헬라어로 자주 강조했다. 선교 지상명령이란 그리스도를 영접하고, 세례를 받고, 주께 복종하도록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사역은……교회를 개척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교회성장의 핵심은 전도와 양육을 감당할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는 데 있다.[Gary McIntosh ed., Eval‎uating the Church Growth Movement: 5 Views, 김석원 역, 『교회성장 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교회성장학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 (서울: 부흥과개혁사, 2009), 47, 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