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카테고리

1848년 2월 17일, 왈도파 예배와 양심의 자유를 허락받다. " 종교개혁의 선구자"

반응형


2월 17일 “마음이 가난한 자”

오늘은 종교개혁의 선구자 왈도파(Waldensian)가 자유를 얻게 된 날입니다. 1848년 2월 17일, 사보이 가문의 국왕 찰스 알버트(Charles Albert)가 해방칙령(The Edict of Emancipation)에 서명함으로써 왈도파는 예배와 양심의 자유를 허락받게 되었습니다. 왈도파는 800년간의 세월 동안 알프스 산맥을 떠돌며 고통 속에 살았습니다. 그들은 변질되어 가는 로마교회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성경에 근거한 신앙을 추구하고 실천했습니다. 그들은 칠성례를 거부하고 세례와 성찬만을 수용했습니다. 성자 및 마리아 숭배를 거절하고, 자국어로 성경을 번역하여 읽었습니다. 연옥과 죽은 자를 위한 기도를 거부한 그들은 모국어로 기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리용(Lyons)의 부유한 상인……발도(Waldo)는……성 알렉시스(Alexis)의 희생을 읊어주는 노래에 감동되어 한 신학 선생에게 “하나님을 찾는 최선의 길”을 물었다……“네가 온전한 사람이 되고자 할진대 가서 네 있는 것을 팔아 가난한 자에게 주라. 그리하면 보화를 하늘에 쌓을 것이요. 또 와서 나를 따르라.”……아내와 딸들을 위하여 적당히 남긴 그는 남은 재산을 가난한 자들에게 주었다. 그는 그리스도가 제자들에게 하신 명령을 절대적으로 이루기로 결심했다……그의 의무를 좀 더 잘 알기 위하여 번역된 신약성서를 얻었다. 그의 행동은 친구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다. 그들은 여기 진정한 “사도적 청빈”이 있다고 생각했고, 남자 여자들이 그를 따랐다. 이 작은 무리들은 회개를 설교하면서 그리스도의 명령을 더 실천에 옮겼다. 그들은 스스로를 “마음이 가난한 자”라 불렀다. 이제 그들은 1179년의 제3라테란(Lateran) 회의에 설교 허가를 호소했다. 회의는 그들을 이단으로 보지 않았다. 그들을 무식한 평신도로 보고 교황 알렉산더 Ⅲ세는 이를 거절했다……1184년 그들은 교황 루키우스(Lucius) Ⅲ세에게 파문당했다.[Williston Walker,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강근환·민경배·박대인·이영헌 역, 『세계기독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237.]

하나님께서는 어느 시대에나 남은 자를 보존하십니다. 구원은 수의 많고 적음에 있지 않습니다. 주께서 함께 하시기에 작은 일의 날이라고 멸시할 수 없습니다. 주여, 인내로 경주하게 하소서. 피에몬테 골짜기에서 심한 핍박을 받은 왈도파의 사건은 우리 믿음의 옷깃을 여미게 합니다. 하나님이여, 크고 작은 고난 앞에서도 그리스도를 향한 믿음 꺾지 않고 인내하게 하옵소서.

콘스탄티아 벨리온느라는 한 신교도 귀부인은 그녀의 믿음 때문에 체포되었다. 한 신부가 그녀에게 마귀를 멀리하고 미사에 나가지 않겠느냐고 물었다. 그 말에 그녀는 대답했다. “나는 어려서부터 마귀를 멀리하라고 가르치는 신앙 가운데 자라 왔습니다. 그러나 내가 만약 당신의 요구에 따라 미사에 나간다면 나는 거기서 여러 가지 형태의 마귀를 만날 것입니다.” 신부는 그녀에게 취소하지 않으면 잔인한 고통을 맛보게 될 것이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그녀는 담대하게 어떤 고통을 주어도 두렵지 않으며 어떤 고문에도 믿음을 굳게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신부는 그녀의 몸에서 살점을 서너 점 떼어 내도록 명령했다. 그녀는 그것을 가장 놀라운 인내로 견뎌내면서 신부에게 이렇게 말할 뿐이었다. “나는 지금 사소하고 일시적인 고통을 겪지만 당신은 지옥에서 얼마나 무섭고 영원한 고통을 당하게 될는지!”……신부는 그녀의 입을 막기 위해 소총사들을 한 떼 세워놓고 그녀에게 총을 쏘게 해서 그녀는 즉시 숨졌다.[Marie Gentert King ed., Foxe’s Book of Martyrs, 양은순 역, 『기독교 순교사화』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9), 154.]
Waldensian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Waldensian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