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카테고리

1902년 2월 20일, 편하설(Charles Francis Bernheisel, 片夏薛, 1874-1958)의 일기, “예수님의 가르침이 오신다”

반응형


2월 20일 “예수님의 가르침이 오신다.”

1902년 2월 20일에 편하설(Charles Francis Bernheisel, 片夏薛, 1874-1958) 선교사가 남긴 일기를 살펴봅시다. 1900년에 맥코믹신학교(McCormick Seminary)를 졸업한 편하설은 복음전도에 남다른 열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가 한국선교에 헌신한 데에는 학생자원운동(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s)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무디(D. L. Moody)와 피어선 박사(A. T. Pierson)가 주도한 선교 운동을 통해 89개 대학, 251명의 대학생 대표들이 도전을 받았습니다. 많은 이들이 해외선교사로 자원했고, 편하설이 바로 그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1907년 평양대부흥의 산 증인이기도 한 그의 일기를 통해 아직 우리말이 서툰 28세 선교사를 반갑게 영접하는 사람들의 모습과 초기한국교회의 열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달전교회의 12명의 남자 교인을 대동하고 오늘 아침 30리 떨어진 덕천읍으로 왔다. 나를 보자 다가와서는 “예수님의 가르침이 오신다”고 말한 사람들이 거리에 도열해 있는 것으로 보아 어떤 목사가 올 것이라는 얘기가 널리 퍼졌던 모양이다. 소년과 성인 남자로 이루어진 거대한 군중이 나를 도와 교회까지 왔다. 교회에는 이미 많은 남성이 모여 우리의 도착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 예배당은 20칸이 넘는 매우 큰(이 도시에서 가장 큰) 건물이고 약 900냥이 되는 건축비용을 교인들이 모두 치렀다. 이곳에는 10여 명의 학습교인만이 있을 뿐이었지만, 그들이 커다란 역사를 이루어 내고 있는 것 같았다. 이곳에 도착하여 약 30분 있으니까, 마을 현감(magistrate)이 하인을 시켜 내게 쪽지를 보내왔는데, 그 쪽지에는 그가 방문하고 싶으나 아파서 참석할 수 없다는 글이 적혀 있었다. 그가 아픈 것은 안됐으나 나의 한국어 실력이 현감을 맞을 정도로 충분하지 않아 그가 올 수 없다는 사실이 한편으로 기쁘기도 했다……우리는 오후 예배와 저녁 예배를 드렸다. 두 개의 예배실은 약 50명의 교인들로 붐볐다. 좋은 학급이 짜여질 전망이다.[C. F. Bernheisel, The Rev. Charles F. Bernheisel's Missionary Diary, 김인수 역, 『편하설 목사의 선교 일기』 (서울: 쿰란출판사, 2004), 67.]

이 마을 저 동리로 다니며 복음을 전했던 선교사들의 헌신이 대각성의 원인은 아니었지만 분명한 바탕이 되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독립운동과 신사참배반대운동의 배후에는 편하설을 비롯한 선교사들의 지지와 후원이 있었습니다. 아무도 가지 않는 곳에 복음 들고 갈 마음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이 도시에 내 백성이 많다고 하셨으니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전합시다. 그리고 타문화권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전도에 힘쓰시는 선교사들을 위해 기도합시다.

번하이셀은……산정현교회에서 진행된 일련의 사태를 적어 미국에 보고했다. 주기철 목사가 연행된 후 산정현교회 당국은 다시 번하이셀 선교사에게 설교를 맡아 달라고 요청했다……그는 늘 그랬던 것처럼 위기 가운데서도 흔들리지 않고 산정현교회 강단을 지켰다. 주기철이 구속된 이후 번하이셀이 산정현교회 주일 강단을 맡자 당황한 것은 일경이었다. 선교사들이 설교를 하지 못하도록 지시한 바가 있었기 때문이다. 번하이셀은 과거 3·1운동으로 강규찬이 구속되었을 때처럼 산정현교회 강단을 맡으며 또다시 위기 가운데서 흔들림 없이 교회를 지켜 나갔다.[박용규, 『평양 산정현교회』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6), 294.]

편하설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