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목받는 신약학자 프랭크 틸만은 BECNT 시리즈에 또 하나의 실질적이고도 접근하기 쉬운 주석을 제시한다. 광범위한 연구와 사려 깊은 장별 주해를 제시하는 이 훌륭한 주석은 독자들이 에베소서의 모든 측면, 곧 사회학적, 역사적, 신학적인 의미와 연관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독자들을 이끈다. 이 에베소서의 주해는 많은 정보에 근거해 풍성하고도 명쾌하며, 그 논증은 설득력이 있다. 다른 BECNT 주석과 마찬가지로, 틸만은 헬라어 본문을 상세하게 들여다본다. 수준 높은 연구 자료이면서도 목회 상황을 고려한 이 주석은 교수와 목사와 학생들에게 모두 유용할 것이다.
[시리즈 소개]
BECNT 시리즈는 복음주의 사상 체계 안에서 학문적 깊이와 쉽게 읽을 수 있는 내용, 주석적인 세부 사실과 전체에 대한 안목, 비판적인 문제들과 신학적인 통찰을 결합시키는 주석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하나님의 말씀을 강해하고 설교하는 목사, 신학자를 비롯한 모든 그리스도인을 대상으로 집필된 이 주석 시리즈는 본문의 의미와 직접 관련되어 있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각 본문의 역할을 문맥 속에서 파악하도록 돕는다.
[시리즈 소개]
BECNT 시리즈는 복음주의 사상 체계 안에서 학문적 깊이와 쉽게 읽을 수 있는 내용, 주석적인 세부 사실과 전체에 대한 안목, 비판적인 문제들과 신학적인 통찰을 결합시키는 주석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하나님의 말씀을 강해하고 설교하는 목사, 신학자를 비롯한 모든 그리스도인을 대상으로 집필된 이 주석 시리즈는 본문의 의미와 직접 관련되어 있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각 본문의 역할을 문맥 속에서 파악하도록 돕는다.

시리즈 서문
저자 서문
약어 소개
지도
서론
I. 서문과 인사말(1:1-2)
II. 그리스도 안에서 자기 백성에게 복을 주신 하나님을 찬송함(1:3-14)
A. 신자를 그의 백성으로 삼으신 은혜로 인해 하나님을 찬송함(1:3-6)
B. 구속과 계시에 나타난 은혜로 인해 하나님을 찬송함(1:7-10)
C.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백성을 상속자로 삼으시고 그들에게 소망을 주신 하나님을 찬송함(1:11-12)
D. 독자들의 회심과 미래 구원으로 인해 하나님을 찬송함(1:13-14)
III. 회심에 대한 감사와 지혜를 위한 간구(1:15-23)
A. 믿음과 사랑에 대한 감사와 조명을 위한 간구(1:15-19)
B. 그리스도 안에서 교회를 위해 나타난 하나님의 위대한 능력(1:20-23)
IV. 진노의 자녀로부터 새 창조로(2:1-10)
A. 진노의 자녀였던 독자들(2:1-3)
B. 하나님의 긍휼하심의 대상(2:4-7)
C. 하나님의 은혜의 내용과 결과(2:8-10)
V. 하나님 없는 자로부터 하나님의 백성의 일원으로(2:11-22)
A. 이방인의 특별한 곤경과 하나님의 응답(2:11-13)
B. 신앙 공동체의 화평인 그리스도(2:14-18)
C. 하나님 가족의 필수 구성원으로서 이방 그리스도인(2:19-22)
VI. 바울의 신적 사명과 이방인을 위한 그의 고난(3:1-13)
A. 비밀의 경륜에 있어서 바울의 역할(3:1-7)
B. 바울의 사명 이행(3:8-13)
VII. 바울이 독자들의 내적 강건을 위해 기도하고 능히 그렇게 하실 하나님을 찬송함(3:14-21)
A. 독자들의 내적 강건함을 위한 바울의 기도(3:14-19)
B. 독자들을 강건하게 하실 하나님을 찬송함(3:20-21)
VIII. 하나 됨과 성숙을 향한 교회의 성장(4:1-16)
A. 그리스도인의 하나 됨과 그 신학적 근거(4:1-6)
B. 교회를 성숙하게 하는 승리한 그리스도의 은사(4:7-16)
IX. 어떻게 새 사람으로 살 것인지 상기시킴(4:17-5:2)
A. 더 이상 “이방인”이 아닌 새 사람으로서 살라(4:17-24)
B. 하나님의 형상으로 새롭게 창조된 사람으로 살라(4:25-5:2)
X. 어둠의 행위를 벗고 변화를 받으라(5:3-14)
A. 성적인 부도덕과 탐욕에서 떠나라(5:3-7)
B. 떠남에서 시작해 변화된 삶으로(5:8-14)
XI. 가정 안에서 지혜로운 행동(5:15-6:9)
A. 서론: 지혜와 성령으로 충만한 삶(5:15-20)
B. 믿음의 가정 내의 복종(5:21-6:9)
XII. 마귀의 간계를 대적하라(6:10-20)
A. 하나님의 전신 갑주를 입으라(6:10-17)
B. 깨어 기도하며 인내하라(6:18-20)
XIII. 끝맺는 추천과 마지막 기도-소원(6:21-24)
A. 두기고와 그의 사명(6:21-22)
B. 편지의 수신자들에게 평안, 사랑, 믿음, 은혜를 기원함(6:23-24)
참고문헌
저자 서문
약어 소개
지도
서론
I. 서문과 인사말(1:1-2)
II. 그리스도 안에서 자기 백성에게 복을 주신 하나님을 찬송함(1:3-14)
A. 신자를 그의 백성으로 삼으신 은혜로 인해 하나님을 찬송함(1:3-6)
B. 구속과 계시에 나타난 은혜로 인해 하나님을 찬송함(1:7-10)
C.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백성을 상속자로 삼으시고 그들에게 소망을 주신 하나님을 찬송함(1:11-12)
D. 독자들의 회심과 미래 구원으로 인해 하나님을 찬송함(1:13-14)
III. 회심에 대한 감사와 지혜를 위한 간구(1:15-23)
A. 믿음과 사랑에 대한 감사와 조명을 위한 간구(1:15-19)
B. 그리스도 안에서 교회를 위해 나타난 하나님의 위대한 능력(1:20-23)
IV. 진노의 자녀로부터 새 창조로(2:1-10)
A. 진노의 자녀였던 독자들(2:1-3)
B. 하나님의 긍휼하심의 대상(2:4-7)
C. 하나님의 은혜의 내용과 결과(2:8-10)
V. 하나님 없는 자로부터 하나님의 백성의 일원으로(2:11-22)
A. 이방인의 특별한 곤경과 하나님의 응답(2:11-13)
B. 신앙 공동체의 화평인 그리스도(2:14-18)
C. 하나님 가족의 필수 구성원으로서 이방 그리스도인(2:19-22)
VI. 바울의 신적 사명과 이방인을 위한 그의 고난(3:1-13)
A. 비밀의 경륜에 있어서 바울의 역할(3:1-7)
B. 바울의 사명 이행(3:8-13)
VII. 바울이 독자들의 내적 강건을 위해 기도하고 능히 그렇게 하실 하나님을 찬송함(3:14-21)
A. 독자들의 내적 강건함을 위한 바울의 기도(3:14-19)
B. 독자들을 강건하게 하실 하나님을 찬송함(3:20-21)
VIII. 하나 됨과 성숙을 향한 교회의 성장(4:1-16)
A. 그리스도인의 하나 됨과 그 신학적 근거(4:1-6)
B. 교회를 성숙하게 하는 승리한 그리스도의 은사(4:7-16)
IX. 어떻게 새 사람으로 살 것인지 상기시킴(4:17-5:2)
A. 더 이상 “이방인”이 아닌 새 사람으로서 살라(4:17-24)
B. 하나님의 형상으로 새롭게 창조된 사람으로 살라(4:25-5:2)
X. 어둠의 행위를 벗고 변화를 받으라(5:3-14)
A. 성적인 부도덕과 탐욕에서 떠나라(5:3-7)
B. 떠남에서 시작해 변화된 삶으로(5:8-14)
XI. 가정 안에서 지혜로운 행동(5:15-6:9)
A. 서론: 지혜와 성령으로 충만한 삶(5:15-20)
B. 믿음의 가정 내의 복종(5:21-6:9)
XII. 마귀의 간계를 대적하라(6:10-20)
A. 하나님의 전신 갑주를 입으라(6:10-17)
B. 깨어 기도하며 인내하라(6:18-20)
XIII. 끝맺는 추천과 마지막 기도-소원(6:21-24)
A. 두기고와 그의 사명(6:21-22)
B. 편지의 수신자들에게 평안, 사랑, 믿음, 은혜를 기원함(6:23-24)
참고문헌

프랭크 틸만의 에베소서 주석은 소아시아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보내는 이 편지의 의미에 대한 확실한 정보를 찾는 목사들, 무관심하거나 적대적인 문화에서 복음 진리의 상황화에 대한 지침을 구하는 선교사들, 이 서신에 대한 역사적인 해석을 개관하려는 신학교 교수들과 교회의 교사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구하는 모든 이들에게 훌륭한 자료가 될 것이다. 신중한 역사적 해석과 분별력 있는 해석적 결정들, 그리고 계속해서 본문의 신학을 강조하기 위한 일관된 노력이 들어 있는 이 책은 필수적인 주석이다.
- 에카르드 슈나벨, 트리니티 신학교
틸만의 에베소서 주석은 훌륭한 성경 주석의 특징을 모두 갖췄다. 곧 고전과 현대를 넘나드는 폭넓은 연구, 헬라어 문장의 형태와 구조에 대한 세심한 주의, 명확한 해석, 그리고 적절한 신학적이고 실제적인 적용을 훌륭하게 담아냈다. 이 주석은 에베소서를 연구할 때 회너 및 오브라이언의 주석과 함께 내가 우선적으로 참고하게 될 자료다.
- 더글러스 무, 휘튼 대학
- 에카르드 슈나벨, 트리니티 신학교
틸만의 에베소서 주석은 훌륭한 성경 주석의 특징을 모두 갖췄다. 곧 고전과 현대를 넘나드는 폭넓은 연구, 헬라어 문장의 형태와 구조에 대한 세심한 주의, 명확한 해석, 그리고 적절한 신학적이고 실제적인 적용을 훌륭하게 담아냈다. 이 주석은 에베소서를 연구할 때 회너 및 오브라이언의 주석과 함께 내가 우선적으로 참고하게 될 자료다.
- 더글러스 무, 휘튼 대학

프랭크 틸만
Frank Thielman
프랭크 틸만은 미국 앨라배마주 빙햄턴에 위치한 샘포드 대학교의 비손 신학교의 장로교 신학 교수다. 듀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PCA 소속 목사이다. 『존더반 신약 주석: 로마서』, 『NIV 적용주석: 빌립보서』(솔로몬), 『신약신학』(CLC), 『바울과 율법: 문맥적 접근』(Paul and the Law: A Contextual Approach) 등의 책을 저술했다.
프랭크 틸만은 미국 앨라배마주 빙햄턴에 위치한 샘포드 대학교의 비손 신학교의 장로교 신학 교수다. 듀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PCA 소속 목사이다. 『존더반 신약 주석: 로마서』, 『NIV 적용주석: 빌립보서』(솔로몬), 『신약신학』(CLC), 『바울과 율법: 문맥적 접근』(Paul and the Law: A Contextual Approach) 등의 책을 저술했다.
반응형